지난해 12월 아랍 정상들 앞에서 '달러 패권'을 선언했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. <br /> <br />석 달 만에 중동산 액화천연가스 6만5천 톤을 수입하며 처음으로 위안화결제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결제를 달러로만 하기로 미국과 합의한 '페트로 달러 체제'가 깨진 겁니다. <br /> <br />[시진핑 / 중국 국가주석(지난해 12월) : 상하이 석유가스 거래소를 플랫폼으로 최대한 활용해 석유와 가스 무역에 대한 위안화 결제를 추진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 중남미 최대 교역국 브라질의 위안화 결제 합의는 달러의 위상을 한층 더 흔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브라질과 중국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달러결제 망인 스위프트 대신 중국에서 만든 위안화 지급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도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[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/ 브라질 대통령 : 매일 밤 저는 스스로에 묻습니다. 왜 모든 국가는 달러를 기반으로 무역을 해야 합니까?]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달러 결제 망에서 배제된 러시아에선 위안화가 결제 통화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방글라데시도 러시아 결제 대금을 위안화로 지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제재를 받는 국가들이 달러화 결제를 못하게 되면서 달러 지위가 더 위협받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"달러의 역할과 연계된 금융 제재는 시간이 지나며 달러의 헤게모니를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전문가들은 당장 위안화가 달러를 대체하거나 달러가 기축통화로서 지위를 잃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투명한 자유경제 안에서 시장의 지배를 받고 있는 달러에 비해 위안화는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기축통화로 자리매김하긴 쉽지 않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42619313174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